새 책! 『디지털폴리스와 포스트-정의 : 포스트휴먼 도시공동체를 위하여』 이현재 엮음, 김재인·이현재·현남숙·홍남희·김은주·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도서출판갈무리 작성일2025-09-02 20:45 조회14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엮은이
이현재 Lee Hyun-Jae
2008년부터 HK사업 ‘글로벌폴리스의 인문적 비전’을 통해 도시인문학의 기초를 확립하는 일을 함께해 왔으며 현재는 인문사회연구소 사업 ‘디지털폴리스의 인문적 비전’에 참여하는 등 도시인문학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몸, 섹슈얼리티, 젠더 등을 신유물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 『여성혐오, 그후 ― 우리가 만난 비체들』, 공저로는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 등이 있다. 공역서로 에드워드 소자, 『포스트메트로폴리스 2』, 낸시 프레이저 외,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 페미니즘』 등이 있다.
글쓴이
김재인 Kim Jae-Yin
철학자.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고등과학원 초학제 연구 프로그램 등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웹진X』 편집위원장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AI 빅뱅』,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 『공동 뇌 프로젝트』 등이 있다.
현남숙 Hyun Namsook
현재 전북대학교 과학문화연구센터 전임연구원으로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문화적 헤게모니와 동의의 조건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에는 신유물론적 맥락에서 다종 간 지식과 윤리에 관한 철학적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철학의 눈으로 읽는 여성』, 『철학, 문화를 읽다』, 『페미니즘의 개념들』(이상 공저) 등이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비인간 존재자의 세계 경험 문제 ― 보고스트와 브라이언트의 입장을 중심으로」, 「생태적 응답과 타자현상학」, 「다종 간 지식과 체화된 공감」(이상 공저), 「D. 해러웨이의 다종적 생태정치 ― ‘함께-되기’와 ‘응답-능력’을 중심으로」, 「인류세의 위기와 다종 간 지식의 요청 ― 애나 칭, 쏨 반 두렌, 도나 해러웨이의 인간-너머 타자 이해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홍남희 Hong Namhee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에 소속되어 있다.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했다.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인공지능 인프라에 관심을 갖고 있다. 논문으로는 「얼굴-데이터-액티비즘」, 「자동화 테크놀로지와 유령노동」, 「소셜 미디어 시대 여론 극화와 상품으로서의 젠더 뉴스」, 「넷플릭스 체제와 로컬 트루 크라임 다큐멘터리」, 「디지털 플랫폼 시대 자동화 거버넌스와 ‘나쁜 말’의 규제」 등이 있다. 저서는 『편향된 기술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 『SNS 검열』,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공저),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 이해와 실천』(공저), 『디지털 폴리스』(공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공저) 등이 있다.
김은주 Kim Eun-Joo
철학연구자.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 연구교수로 있다.
저서 : 『디지털 폴리스』(2024, 공저), 『에코테크네 도시』(2022, 공저), 『페미니즘 철학 입문』(2021),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21세기 사상의 최전선』(2020, 공저), 『여성-되기 ―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2019),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2017),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2017) 등.
역서 : 『죽음정치』(2025 출간 예정, 공역), 『변신 ― 되기의 유물론을 향해』(2020), 『페미니즘을 퀴어링!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페미니즘 이론, 실천, 행동』(2018,공역), 『트랜스포지션 ― 유목적 윤리학』(2011, 공역) 등.
이혜정 Lee Hye-Jeong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1970년대 도시소설의 서울 재현 양상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최인호 소설에 나타나는 작가의식 연구 ― 『지구인』의 개작과정을 중심으로」, 「비인간 존재에 대한 탈인지적 사유 ― 김초엽의 『파견자들』을 중심으로」가 있다.
박여리 Park Yeori
미시간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의 시장화된 노인 돌봄 체계와 노인의 계급 정체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의료인류학적 관점에서 노인 돌봄의 현황을 분석해 왔다. 논문으로 「독립적인 삶에 대한 갈망 ― 중국 양로원 중산층 여성 노인의 지식인 계급 정체성」, 「불안한 노년 ― 중국 사립 양로원의 위기로 보는 시장화된 돌봄 체계의 한계」 등이 있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영풍문고
지역서점
[서울] MMCA 미술책방(오프라인) 그날이오면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
[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이현재 Lee Hyun-Jae
2008년부터 HK사업 ‘글로벌폴리스의 인문적 비전’을 통해 도시인문학의 기초를 확립하는 일을 함께해 왔으며 현재는 인문사회연구소 사업 ‘디지털폴리스의 인문적 비전’에 참여하는 등 도시인문학의 지평을 넓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몸, 섹슈얼리티, 젠더 등을 신유물론의 관점에서 재구성하는 일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저서로 『여성혐오, 그후 ― 우리가 만난 비체들』, 공저로는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 등이 있다. 공역서로 에드워드 소자, 『포스트메트로폴리스 2』, 낸시 프레이저 외,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로지 브라이도티, 『포스트휴먼 페미니즘』 등이 있다.
글쓴이
김재인 Kim Jae-Yin
철학자.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철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고등과학원 초학제 연구 프로그램 등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고, 포스텍 융합문명연구원 『웹진X』 편집위원장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 『인공지능의 시대, 인간을 다시 묻다』, 『AI 빅뱅』, 『인간은 아직 좌절하지 마』, 『공동 뇌 프로젝트』 등이 있다.
현남숙 Hyun Namsook
현재 전북대학교 과학문화연구센터 전임연구원으로 있다.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에서 문화적 헤게모니와 동의의 조건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에는 신유물론적 맥락에서 다종 간 지식과 윤리에 관한 철학적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는 『철학의 눈으로 읽는 여성』, 『철학, 문화를 읽다』, 『페미니즘의 개념들』(이상 공저) 등이 있다. 최근 논문으로는 「비인간 존재자의 세계 경험 문제 ― 보고스트와 브라이언트의 입장을 중심으로」, 「생태적 응답과 타자현상학」, 「다종 간 지식과 체화된 공감」(이상 공저), 「D. 해러웨이의 다종적 생태정치 ― ‘함께-되기’와 ‘응답-능력’을 중심으로」, 「인류세의 위기와 다종 간 지식의 요청 ― 애나 칭, 쏨 반 두렌, 도나 해러웨이의 인간-너머 타자 이해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홍남희 Hong Namhee
연세대학교 매체와예술연구소에 소속되어 있다.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했다.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 인공지능 인프라에 관심을 갖고 있다. 논문으로는 「얼굴-데이터-액티비즘」, 「자동화 테크놀로지와 유령노동」, 「소셜 미디어 시대 여론 극화와 상품으로서의 젠더 뉴스」, 「넷플릭스 체제와 로컬 트루 크라임 다큐멘터리」, 「디지털 플랫폼 시대 자동화 거버넌스와 ‘나쁜 말’의 규제」 등이 있다. 저서는 『편향된 기술문화는 어떻게 작동해 왔는가』, 『SNS 검열』, 『AI와 더불어 살기』(공저), 『디지털 미디어 소비와 젠더』(공저),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 이해와 실천』(공저), 『디지털 폴리스』(공저),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공저) 등이 있다.
김은주 Kim Eun-Joo
철학연구자.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 연구교수로 있다.
저서 : 『디지털 폴리스』(2024, 공저), 『에코테크네 도시』(2022, 공저), 『페미니즘 철학 입문』(2021), 『디지털 포스트휴먼의 조건』(2021, 공저), 『21세기 사상의 최전선』(2020, 공저), 『여성-되기 ― 들뢰즈의 행동학과 페미니즘』(2019), 『생각하는 여자는 괴물과 함께 잠을 잔다』(2017),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2017) 등.
역서 : 『죽음정치』(2025 출간 예정, 공역), 『변신 ― 되기의 유물론을 향해』(2020), 『페미니즘을 퀴어링! ―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페미니즘 이론, 실천, 행동』(2018,공역), 『트랜스포지션 ― 유목적 윤리학』(2011, 공역) 등.
이혜정 Lee Hye-Jeong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1970년대 도시소설의 서울 재현 양상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 「최인호 소설에 나타나는 작가의식 연구 ― 『지구인』의 개작과정을 중심으로」, 「비인간 존재에 대한 탈인지적 사유 ― 김초엽의 『파견자들』을 중심으로」가 있다.
박여리 Park Yeori
미시간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인문학연구소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중국의 시장화된 노인 돌봄 체계와 노인의 계급 정체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의료인류학적 관점에서 노인 돌봄의 현황을 분석해 왔다. 논문으로 「독립적인 삶에 대한 갈망 ― 중국 양로원 중산층 여성 노인의 지식인 계급 정체성」, 「불안한 노년 ― 중국 사립 양로원의 위기로 보는 시장화된 돌봄 체계의 한계」 등이 있다.
구입처
온라인서점 / 전국대형서점
알라딘 교보문고 YES24 영풍문고
지역서점
[서울] MMCA 미술책방(오프라인) 그날이오면 더북소사이어티 산책자
[광주] 책과생활
[부산] 부산도서 영광도서
[부천] 경인문고
[제주] 제주풀무질
메일링 신청하기 https://bit.ly/3GtPbQ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